본문 바로가기
리얼 비즈니스 Related to business

[스몰 톡] 전공의 파업 설명하기 - physician strike

by 김차장 2024. 4. 9.

어느 미팅이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는 미팅은 없죠. 실제 업무 내용을 논의하기 전에 아이스브레이킹 식으로 최근 근황들을 얘기하곤 합니다. 요즘 다른 팀원들과 미팅을 하면 열이면 열 물어보는 것이 바로 한국의 전공의 파업 Physician strike입니다. 전공의 파업이 시작된 지 어언 두 달이 지나니, 해외에 있는 팀원들도 해외뉴스 기사로 접했나 봅니다. 제가 한국에 머무는 만큼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궁금해하는데요, 오늘은 제가 매니저와 나눈 대화 내용을 적어볼까 합니다. 사실에 대한 주관적인 의견이 들어간 문장이니 참고해 주세요!

 

한국에서 전공의들이 파업하고 있다는 걸 들었어.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이야?

I heard that physicians are on strike in Korea. What is happening there?

 

설명하자면 길지만 짧게 말하자면, 이번 파업은 여러 사안들이 종합된 것 같아.

Long story short, I think this stirke comes from comprehensive issues. 

 

정부는 의료 지역 불균형으로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리는 것을 주장하고 있어.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o increase the number of medical student by up to 2,000, due to chronic shortages of physicians in rural area. 

 

하지만 의료계는 지역 불균형은 증원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라고 얘기해. 의사들이 지역으로 퍼지지 않는 이유는 낮은 의료 수가라고 말하고 있어.

However, the physician society argues that it won't be resolved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doctors. They mentioned that the main reason of lack of doctors in rural area is low compensation. 

 

이에 대해, 정부가 너무가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는 상황이야. 몇 주 뒤 국회의원 선거가 있고, 대통령은 시민들의 힘을 입어 정권을 유지하고 싶어 하기 때문이지. 

But the government has been pushing so hard to the plan. And a couple of weeks later, we will have general election and the president would like to keep the power with strong support of the public.

 

그래서 전공의들은 사직서를 내면서 파업을 시작하게 되었어. 큰 병원에서는 일손이 줄어들자, 예정된 수술들을 취소하고 응급 의료 위주로 환자들을 돌보고 있지.

That's why trainee doctors submitted resignation and walked out of the hospital. Major hopspitals lost their resources so they had to cancel elective surgeries and take care of only emergency procedures. 

 

파업이 시작된 지 어느덧 두 달이 다 되어가고 의료 시스템이 마비가 되자, 강경한 정부와 의료계를 두고 시민들은 부정적인 시선을 보이고 있어. 

It has been almost two months after the trainee doctor's resgination. Our healthcare system is getting to face diffficulty so people see pessimistically this situation between strict government and physician society. 

 

국회의원 선거의 결과에 따라 어느 정도 결정이 나올 것 같은데, 이 마저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야. 

Many people believes that it can be changed after general election, but we are not sure. 

 

어려운 상황들을 좀 더 쉬운 단어들로 쉽게 풀어 설명해보려 하지만, 이 대화를 준비하면서도 사전을 찾아보고 맞는 표현들을 알아보았던 것 같아요. 전문 영역으로 들어가는 만큼 설명이 수월하진 않지만, 그래도 저도 다시 한번 적어보며 몇몇 구문들은 다른 대화에서도 써볼 수 있게 노력해 볼 생각입니다.